19세기 동안 조선은 전국적으로 국경을 닫아 외세의 영향을 통제하려 했습니다. 1853년 미국의 포경선 사우스 아메리카가 10일 동안 부산을 방문하여 지역의 관리들과 우호적인 접촉을 가졌습니다. 1855년과 1865년에 한국에서 난파된 몇몇 미국인들은 좋은 대접을 받았고 본국 송환을 위하여 중국으로 보냈습니다. 조선 조정은 청나라에 대한 제1차 및 2차 아편전쟁 그리고 외세의 침략과 조약들을 알고 있어 서구와의 느린 교류로 신중한 정책을 수행하였습니다.
1866년 수차례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천주교로 개종하는 많은 수의 한국인들에 대한 반작용으로 조선 조정은 이들을 탄압하였고 한국의 개종자들과 함께 프랑스 천주교 선교사들도 학살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프랑스는 서울 근교에 있는 강화도를 침략하여 점령하였고 서울로 나아 가려 했으나 한국군의 강한 저항으로 실패하고 강화도에서 철수하였습니다.
미국이 소유한 무장상선 제너럴셔먼호는 1866년 한국의 무역개방을 시도하였습니다. 첫 번째의 의사소통 오류 후 배는 강을 거슬러 올라가다가 평양 근처에서 좌초되었습니다. 한국 관리들에 의하여 떠나라는 명령을 받은 후 미국 선원들은 4명의 한국인을 살해하였고 한 명의 군인을 납치하였고 4일 동안 산발적으로 전투를 계속하였습니다. 그 배를 파괴하려는 두 번의 노력이 실패한 후 그 배는 폭발물을 실은 한국의 화공선들에 의해 마침내 불길에 싸였습니다. 북한에서는 훗날 푸에블로 사건의 전조로 이 사건을 기념하고 있습니다. 이에 1871년 미국은 한국 군대와 맞섰고 강화도에서 243명의 한국인을 살해한 뒤 철수하였습니다. 이 사건을 한국에서는 신미양요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그 후 5년 뒤 은둔의 한국은 일본과 무역조약을 하였고 1882년에는 미국과 조약을 맺어 수 세기에 걸친 고립주의를 끝냈습니다.
보수적인 조정과 개혁파의 투쟁은 1884년 갑신정변이 일어났습니다. 개혁파는 한국의 관행화된 사회적인 불평등을 개혁하고, 양반 계층의 특권 제거와 사회적 평등을 선언하였습니다. 개혁파는 일본의 지원을 받았는데 보수적인 민비가 불러온 청나라 군대의 도착으로 좌절되었습니다. 중국 군대는 떠났지만 중국의 장군이 1885년부터 1894년까지 한국에 머물며 한국 상황을 감독하였습니다.
1885년 영국 왕실의 해군은 거문도를 점령하였고 1887년에 철수했습니다.
1888년에는 중국의 통제를 받는 전신으로 중국과 연결되었습니다. 중국은 한국이 다른 나라 즉 러시아 1884년, 이태리 1885년, 프랑스 1886년 그리고 미국과 일본과의 대사관을 설립하는 것을 허용하였습니다. 중국은 일본 도쿄를 제외하고 서방 국가들과 대사관 교환을 막으려 하였습니다.
청국 정부는 융자를 제공하였습니다. 중국은 일본 상인들을 봉쇄하기 위하여 무역을 촉진하였고 그것이 한국 무역에서 중국인들의 호의를 이끌었습니다. 1888년과 1889년 반중 폭동이 일어났고 중국인의 상점이 불에 탔습니다. 일본은 가장 큰 외국인 공동체로 남아 있었으며 가장 큰 무역 상대였습니다.
1894년~1895년에 급속히 근대화된 메이지 일본은 1차 중일 전쟁으로 중국 도전에 성공하여 그들에게 한국에 의한 경의의 오랜 주장을 단념하도록 하였습니다.
한국의 근대화는 1876년 일본이 개항을 강요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처음에는 근대화 세력은 지배계층의 전통주의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로부터도 강한 반대를 받았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정부의 유교 통치체제를 지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1897년 대한제국이 설립되기 전까지 주요한 근대화 과정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일본은 근대화 운동을 이용하여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점점 가지고 갔습니다. 1895년 일본인들은 러시아의 도움을 얻고자 하였던 명성황후 에 대한 살해에 관여하였으며, 러시아인들은 당분간 한국에서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제1차 중일 전쟁(1894년~1895년)의 결과로 중국과 일본의 시모노세키 조약이 1895년에 체결되었습니다. 그것은 1882년 임오 사변 이후 한국이 중국의 종속국가였던 관계를 폐지할 것을 규정하고 있었습니다.
1897년 조선은 대한 제국으로 이름을 바뀌었고 고종 왕은 고종황제가 되었습니다. 제국 정부는 국내 개혁을 시행하고, 군사력 강화 상업과 공업의 발전, 토지소유권을 조사함으로써 강력하고 독립된 국가가 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독립 클럽 같은 단체는 조선 민족의 권리를 주장하기 위하여 결집하였지만 절대군주제와 권력을 주장하는 정부와 충돌하였습니다. 러일전쟁(1904년~1905년)에서 러시아가 일본에게 패배할 때까지 제국 내에서의 러시아의 영향력은 강했습니다. 대한 제국은 1905년 11월 17일에 사실상 일본의 보호국이 되었습니다. 1905년의 보호령 조약은 고종황제의 직인이나 위임 없이 공포되었습니다. 조약 체결 후 많은 지식인과 학자들이 다양한 조직과 협회를 설립하고 독립운동에 착수하였습니다. 1907년 일본의 보호조약에 대한 이의 제기를 위하여 비밀특사를 헤이그 대표자 회의에 고종황제가 파견한 것을 알게 된 일본은 고종황제는 강제로 퇴위하도록 하였고 고종의 아들인 순종 황제가 즉위하였습니다. 1909년 독립운동가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 전 조선 총독이 한국정치에 개입했다는 이유로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했습니다. 이 사건은 일본인들이 모든 정치조직을 금지하고 합병 계획을 진행하게 하였습니다.
분단과 한국전쟁, 대한민국(한국,북한) (0) | 2024.05.20 |
---|---|
일제 강점기, 한일 합병, 삼일 운동, 임시정부, 일본의 수탈 (0) | 2024.05.19 |
조선시대2, 동학과 최제우, 흥선대원군, 문화와 사회, 대외관계 (1) | 2024.05.18 |
조선왕조설립, 세종대왕과 한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19세기 (0) | 2024.05.18 |
발해2, 후삼국시대, 고려시대 (0) | 2024.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