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문화는 1945년 한반도가 남한과 북한으로 분단된 이후 오늘날까지 문화적으로 많은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분단이전까지는 한국의 전통문화는 한국의 역사적, 문화적 유산입니다. 조선왕조 이전에는 샤머니즘의 관습이 한국 문화에 아주 큰 영향을 끼치고 있었습니다.
한국의 전통의상은 한복이라 불리고 있으며 저고리와 치마 및 바지로 구성되어 있고 고대로부터 입어 왔습니다. 사회적 지위에 따라 한국사람들은 옷차림이 다르기 때문에 옷차림은 사회적 지위의 중요한 표식이 되었습니다. 상류층은 그들과 일반인들과의 차별을 두기 위하여 보석을 사용하였습니다. 여성들이 착용하였던 전통적인 보석들은 보석과 실크를 어울리게 늘어뜨린 장식이었습니다. 한국 사람들은 백의민족이라는 별명이 있듯이 장식이 없고 흰색의 평범한 한복을 수천 년 동안 입었습니다. 장식과 색상은 특별히 제복이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경우 또는 특별한 경우에 착용하였습니다. 이러한 관습은 한국의 삼국시대로부터 지속하다가 한국전쟁 직후에 가난으로 마감되었던 것 같습니다. 일상복은 모든 사람이 공유하지만 의식용 또는 특수용 의복은 평상복과 달리하였습니다. 겨울에는 솜이 들어 있는 옷을 입었고 모피도 흔히 사용하였습니다. 한복은 평상복, 예복, 특수복과 같이 목적에 따라 분류하였습니다. 의식용 의상은 결혼식, 장례식, 어린이의 첫돌 등을 공식적인 행사에서 착용하고, 특수복은 공무원, 무당과 같은 사람들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오늘날에는 일상복의 착용은 거의 사라졌으나, 공식적인 행사에서는 여전히 착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노인들은 아직도 한복을 입기도 하고, 젊은 사람들의 시각으로 재해석된 개량된 한복으로 만들어지기도 하였습니다. 전통적으로 한복은 혼례복으로 그 유래는 14세기부터였습니다. 가슴에 꼭 맞는 저고리와 바닥까지 드리워진 치마로 활기차거나 파스텔톤의 색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지난 수 십 년 동안 한복을 일상복으로 사용하는 것이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최근 세계적으로 한국의 문화에 대한 관심이 치솟고 있는데, 이는 한국 대중음악의 관심이 이를 이끌어 낸 것으로 보입니다. 방탄소년단 및 블랙핑크 등이 시상식 등 공식석상이나 뮤직비디어 등에서 한복을 입고 보여줌으로써 한국의 문화유산을 빛냈다는 찬사를 듣고 있습니다.
한국의 주식은 쌀입니다. 유사 이래 농업국가인 한국의 주요 농산물은 쌀을 비롯하여 보리, 콩 등이지만 다른 작물들도 많이 생산되어 한국의 조리법은 이러한 경험에서 형성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은 반도국가이기 때문에 생선과 다른 해산물도 매우 중요한 먹거리입니다. 발효음식도 이른 시기에 개발되었고, 절인생선과 절인 야채도 한국의 전통음식의 특징입니다. 이러한 음식들은 한겨울에도 한국인들에게 비타민과 단백질 등 많은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음식 중의 하나인 김치는 절임채소의 하나로 비타민과 철분, 칼슘과 카로틴 및 리보플래빈 등 많은 영양소 함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김치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재료에 따라 배추 및 대파김치, 오이 및 무김치와 참깨김치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메인요리와 함께 반찬이 제공됩니다. 반찬으로는 일반적으로 김치, 콩나물, 생선, 잡채, 오이샐러드 및 시금치나물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많은 요리가 개발되었는데, 이들 음식들은 잔치음식과 제례음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잔치음식은 아이가 태어난 지 백일, 첫 번째 생일, 그리고 결혼 및 환갑 등 잔치 음식이 있습니다. 제례음식은 장례식, 제사 및 사찰 음식 등이 있습니다. 사찰음식의 특징은 고기를 사용하지 않고 한국요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5가지 강한 맛의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즉 마늘, 파, 부추 및 생강 등의 재료를 말합니다. 잔치 및 제례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이 떡입니다. 음식은 음과 양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 재료를 선택하여 음식의 색채와 조리법에 이용하고 있습니다.
수라상이라 불리는 전통궁정요리는 오늘날에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야채요리가 기본이었으나 점차 육류요리가 증가하였습니다. 전통요리로는 불고기, 신설로, 구절판, 쌈밥, 비빔밥, 김치 등 여러 가지의 음식들이 있습니다.
한국인은 과일을 비롯하여 잎사귀 그리고 씨앗 또는 뿌리로부터 만든 차를 즐겼습니다. 원래는 의식목적으로 전통약초의 일부를 사용하여 차를 만들었습니다. 한국의 차에는 5가지의 맛이 있는데 단맛, 짠맛, 신맛, 매운맛, 쓴맛이 있습니다.
한국의 축제는 태음력을 기반으로 한국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한국의 음력은 각각이 15일간 지속되는 24개의 절기로 나뉘고 있습니다. 음력은 과거에는 농사와 관련이 있었지만 현대의 생활양식에서는 사라지고 있습니다. 양력은 1895년부터 채택하였지만 나이와 전통휴일은 여전히 음력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오늘날 가장 큰 명절은 설날과 추석이 있으며, 대보름과 단오 등 있습니다. 여러 지역에서 음력을 기준하여 기념하는 축제가 각각 있습니다.
한국의 예술, 음악, 정원, 주택, 무속신앙 (0) | 2024.05.30 |
---|---|
한국의 예술, 도예, 공예, 춤과 무술, 회화 (0) | 2024.05.26 |
분단과 한국전쟁, 대한민국(한국,북한) (0) | 2024.05.20 |
일제 강점기, 한일 합병, 삼일 운동, 임시정부, 일본의 수탈 (0) | 2024.05.19 |
조선시대 3, 쇄국정책과 개항, 대한제국 (1) | 2024.05.19 |